'위화도 회군’ 한국사 뒷 이야기
-
'위화도 회군’ 한국사 뒷 이야기한국사 2025. 8. 14. 14:01
‘그날의 기록 – 위화도 회군’ 한국사 뒷 이야기위화도의 강가에 선 이성계1388년 음력 5월, 압록강 하구의 위화도(威化島)에는 긴장감이 감돌았다. 고려 조정이 명나라의 요동 정벌을 명하자, 5만 대군을 이끈 이성계는 이미 압록강을 건너기 직전이었다. 그러나 새벽녘 강가의 안개 속에서 그는 깊은 고민에 빠져 있었다. 몽골과 왜구의 침입으로 지친 백성, 흉작과 전염병으로 약해진 국력, 그리고 명나라와의 불필요한 전쟁이 가져올 파멸을 그는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다. 이성계가 이 자리에서 “사불가론(四不可論)”을 들어 회군을 결심했다고 전한다. a) 시기상 부적합, b) 군사력 부족, c) 백성의 피폐, d) 전선 장악의 불리함을 이유로 원정을 중지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야사에서는 또 다른 이야기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