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역사 속 뒷 이야기 고려 ‘망한 왕조들’ 집중 해부
-
한국역사 속 뒷 이야기 고려 ‘망한 왕조들’ 집중 해부한국사 2025. 7. 7. 10:49
위대한 시작, 그러나 균열된 내부918년 궁예를 몰아낸 왕건이 개창한 고려는 불교를 국교로 삼고, 귀족 중심의 체제를 유지하며 약 500년간 한반도의 중심 왕조로 군림했다. 그러나 겉으로는 찬란했던 고려는 내부적으로 많은 모순을 안고 있었다. 가장 큰 문제는 문벌 귀족 중심 체제의 고착이었다. 초기에는 개국 공신들과 지방 호족 간 균형이 이루어졌지만, 시간이 갈수록 경원 이씨, 안산 김씨, 경주 최씨 등 특정 귀족 가문이 권력을 독점하게 되면서, 지방 사회와 중앙 정치의 단절이 심화되었다. 과거제를 통해 새로운 인재를 등용하려는 노력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귀족 자제들의 입신 수단에 머물렀다. 이에 따라 왕권은 점점 약화되고, 국정은 귀족들의 이해관계에 휘둘렸다. 백성들은 중세 봉건 체제 아래에서 무거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