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왕의 식탁 & 현대화 시도
-
한국사 뒷이야기 왕의 식탁 & 현대화 시도한국사 2025. 7. 3. 15:15
조선시대 왕의 식탁단순한 식사가 아닌 권위와 상징, 의례가 결합된 국가 운영의 일부였다. ‘수라상’이라 불린 왕의 식사는 매일 아침과 저녁, 하루 두 번 올려졌고, 기본 12첩에서 많게는 30여 첩에 이르는 음식이 정갈하게 차려졌다. 상에는 육류, 생선, 나물, 찌개, 전골, 김치류, 후식 등이 고루 오르며, 제철 재료를 엄선하여 조리했다. 음식은 단지 맛을 위한 것이 아니라 왕의 건강과 통치를 위한 것이었기에, 계절과 체질에 따라 엄격히 조절되었고, 간은 절제되었으며 기름기보다는 담백함과 깔끔함이 강조되었다. 음식 하나하나에는 조리상궁의 손맛과 약선철학이 녹아 있었고, 그 조리법은 철저히 구전으로 전해졌다. 왕의 수라는 신선하고 조화로운 맛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극도의 섬세함과 절제가 담겨 있어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