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기율표
-
주기율표 10번 원소-네온(Ne)주기율표(과학) 2025. 11. 13. 16:03
주기율표 10번 원소 네온(Ne) – 빛나는 간판 속의 원소, 우주의 아름다운 조명 [주기율표로 떠나는 원소 여행 시리즈] 각 원소의 발견 이야기, 성질, 일상 속 활용, 산업적 가치까지 ‘과학이 어렵지 않게 느껴지는 글’을 목표로 합니다. 오늘은 제 10번 원소 네온(Ne) 이야기를 함께 알아볼까요? 이름의 유래와 발견 이야기 ‘네온(Neon)’이라는 이름은 그리스어 neos(새로운) 에서 왔습니다. 즉, “새로운 원소(New One)”라는 의미죠. 1898년, 영국의 화학자 윌리엄 램지(William Ramsay) 와 모리스 트래버스(Morris Travers)는 공기를 액화시킨 뒤 정밀하게 분리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기체’를 발견했습니다. 이 기체는 공기 중 매우 적은 비율로 존재하기 때문..
-
주기율표 9번 원소-플루오린카테고리 없음 2025. 11. 13. 15:06
주기율표 9번 원소 플루오린(F) – 가장 반응이 강한 원소, 치약 속의 화학 전사 [주기율표로 떠나는 원소 여행 시리즈] 각 원소의 발견 이야기, 성질, 일상 속 활용, 산업적 가치까지 ‘과학이 어렵지 않게 느껴지는 글’을 목표로 합니다. 이름의 유래와 발견 이야기 ‘플루오린(Fluorine)’은 라틴어 fluere(흐르다) 에서 왔습니다. 이는 플루오린이 들어 있는 광물 형석(Fluorspar, CaF₂) 이 광석을 녹이는 조제(플럭스, flux)로 사용되던 데서 유래했습니다. 플루오린은 오랫동안 발견이 어려웠던 원소 중 하나였습니다. 그 이유는 너무 반응성이 강해서 실험 중 많은 화학자들이 부상을 당하거나 목숨을 잃었기 때문입니다. 그 위험 때문에 한때는 ‘악마의 원소(The Devil’s E..
-
주기율표 8번 원소-산소(O)주기율표(과학) 2025. 11. 12. 18:45
주기율표 8번 원소 산소(O) – 우리가 숨 쉬는 공기의 생명 원소 [주기율표로 떠나는 원소 여행 시리즈] 각 원소의 발견 이야기, 성질, 일상 속 활용, 산업적 가치까지 ‘과학이 어렵지 않게 느껴지는 글’을 목표로 합니다. 오늘은 제 8번 원소 산소(O) 이야기를 함께 알아볼까요? 이름의 유래와 발견 이야기 ‘산소(Oxygen)’라는 이름은 그리스어 oxys(신맛) 와 genes(만드는 자) 에서 유래했습니다. 18세기 후반, 프랑스의 화학자 라부아지에(Antoine Lavoisier) 가 이 기체가 ‘산을 만드는 원소’라고 잘못 추정해 이런 이름을 붙였죠. 비록 오해에서 시작된 이름이지만, 지금은 가장 친숙한 원소 이름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사실 산소는 1770년대에 영국의 조지프 프리스트리(J..
-
주기율표 7번 원소-질소(N)주기율표(과학) 2025. 11. 12. 15:45
주기율표 7번 원소 질소(N) – 공기의 주인공이자 생명의 순환을 이끄는 원소주기율표로 떠나는 원소 여행 시리즈이 블로그에서는 주기율표 속 118개 원소를하나씩 탐 험합니다. 이름의 유래와 발견 이야기 ‘질소(Nitrogen)’라는 이름은 그리스어 nitron(소다) 과 genes(만 드는 자) 에서 유래했습니다.직역하면 “소다를 만드는 원소”라는 뜻이지만, 사실 이 이름이 붙은 이유는 질소 화합물이 초기에 질산염(소금 비 료) 형태로발견되었기 때문입니다. 1772년, 스코틀랜드의 의사이자 화학자인 대니얼 러더퍼드 (Daniel Rutherford) 가 공기에서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제거한 뒤에도 남아 있는 기체를 발 견했습니다. 그는 이 기체가 생명과 불을 유지하지 못하게 한다는 점에서 ‘무생명 공기(Ph..
-
주기율표 6번 원소-탄소(C)주기율표(과학) 2025. 11. 12. 12:20
주기율표 6번 원소 탄소(C) – 생명과 산업, 그리고 우주의 근본을 이루는 원소 주기율표로 떠나는 원소 여행 시리즈각 원소의 발견 이야기, 성질, 일상 속 활용, 산업적 가치까지 ‘과학이 어렵지 않게 느껴지는 글’을 목표로 합니다. 이름의 유래와 발견 이야기 ‘탄소(Carbon)’라는 이름은 라틴어 carbo에서 왔으며, 이는 ‘숯’ 또는 ‘석탄’을 뜻합니다. 고대부터 인간은 탄소를 알고 있었습니다. 불을 피우며 남은 숯, 검은 연기, 그리고 다이아몬드—모두 탄소의 다양한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탄소는 인류가 가장 먼저 접한 원소 중 하나이자, ‘발견’이라기보다 ‘본래부터 존재를 인식하고 있던’ 원소입니다. 주기율표 속에서도 생명체의 근간을 이루는 원소로, ‘유기화학’이라는 거대한 학문의 중심이 되었습..
-
주기율표 5번 원소-붕소(B)주기율표(과학) 2025. 11. 11. 15:03
주기율표 5번 원소 붕소(B) – 유리와 반도체, 그리고 우주를 연결하는 다재다능한 원소 [주기율표로 떠나는 원소 여행 시리즈] 이름의 유래와 발견 이야기 ‘붕소(Boron)’라는 이름은 아랍어 buraq 또는 페르시아어 burah에서 유래한 말로, 이는 “보랏빛 결정(붕사)”을 뜻합니다. 붕사는 고대부터 유리 세척제나 유약 원료로 사용되어 왔죠. 1808년, 프랑스의 화학자 조제프 루이 게이뤼삭(Joseph Louis Gay-Lussac)과 영국의 험프리 데이비(Sir Humphry Davy)가 거의 동시에 붕산을 전기분해하여 새로운 원소를 분리해냈습니다. 이로써 인류는 주기율표 속 다섯 번째 자리를 차지할 새로운 반금속 원소를 만나게 되었죠. 붕소는 금속과 비금속의 중간 성질을 가진 ‘반금속 원소..
-
주기율표 4번 원소-베릴륨(Be)주기율표(과학) 2025. 11. 10. 17:40
주기율표 4번 원소 베릴륨(Be) – 가볍고 단단한 금속, 항공산업의 숨은 영웅 주기율표로 떠나는 원소 여행 시리즈이름의 유래와 발견 이야기 ‘베릴륨(Beryllium)’이라는 이름은 보석 이름인 베릴(Beryl) 에서 왔습니다. 이 베릴 광석은 고대부터 에메랄드나 아쿠아마린의 주성분으로 알려져 있었죠. 1798년, 프랑스의 화학자 루이 비클랭(Louis Vauquelin)은 에메랄드와 베릴을 분석하던 중 새로운 금속 산화물을 발견했습니다. 그는 처음 이 물질을 ‘글루시늄(Glucinium)’이라 불렀는데, 단맛(‘glukus’)이 나는 성질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이후 더 정확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독일의 화학자프리드리히 뵈즐리우스가 ‘베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정리하면서, 오늘날의 이름 ‘베릴륨(B..
-
주기율표 3번 원소 리튬(Li) – 작지만 강한 에너지,주기율표(과학) 2025. 11. 10. 16:50
주기율표로 떠나는 원소 여행 시리즈 각 원소의 발견 이야기, 성질, 일상 속 활용, 산업적 가치까지 ‘과학이 어렵지 않게 느껴지는 글’을 목표로 합니다. 이름부터 강렬하다! – 원소의 발견 이야기 ‘리튬(Lithium)’이라는 이름은 그리스어 lithos(돌) 에서 유래했습니다. 즉, “돌에서 나온 원소”라는 뜻이지요. 다른 알칼리금속(나트륨, 칼륨 등)이 대부분 식물에서 발견된 것과 달리,리튬은 암석 속 광물에서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1817년, 스웨덴의 화학자 요한 아르페드손(Johan August Arfwedson)은 스웨덴 우토(Öto) 섬의 페탈라이트 광석을 분석하다가 새로운 금속 원소의 존재를 확인했습니다. 그는 당시 명망 높은 화학자 베르셀리우스와 함께 이 금속을 연구했고, 결국 새로운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