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조선 백성이 낸 세금 3종세트
+ing
2025. 7. 14. 13:23
조선 백성이 낸 세금 3종세트
전세 · 공납 · 역 → 지금 세금과 뭐가 비슷할까?
전세(田稅) = 지금의 ‘소득세’나 ‘재산세’ 느낌!
조선시대 백성이 농사지은 땅에서 수확한 곡식 일부(보통 1/10)를 나라에 바치는 세금
땅이 넓고 많이 수확할수록 많이 냈음
현대와 비교하자면?
→ 땅이 많거나 소득이 많으면 세금도 많이 내는 소득세, 재산세와 비슷해요
하지만 차이점은?
→ 조선시대엔 흉년이 들어도 “세금은 그대로”… 감면 거의 없음
공납(貢納) = 지금의 ‘부가세’ 또는 ‘지방세’와 비슷!
지역마다 특산물을 나라에 바쳐야 했던 세금
ex) 강원도는 솔방울, 전라도는 종이, 경상도는 비단 등
문제는? 직접 바치는 게 아니라 공인(중간상인)이 대신 걷으면서 물건값을 몇 배로 부풀림
현대와 비교하자면?
→ 소비할 때 자동으로 붙는 부가가치세, 또는 지역마다 내는 지방세와 비슷해요
하지만 공납은 물건으로 바쳐야 하고, 중간 착취가 심해서 백성들이 고통받았죠
역(役) = 지금의 ‘국방의 의무’나 ‘근로의무’와 유사!
조선 백성은 세금으로 노동력도 바쳤어요
→ 성 쌓기, 나무 나르기, 도로 공사 등 국가 사업에 직접 동원됨
특히 남자들은 군역(군대 대신 옷감 세금: 군포)까지 내야 했죠
현대와 비교하자면?
→ 지금의 징병제나, 세금으로 군대 유지·공공사업 하는 것과 비슷
다만 조선은 돈 없이 직접 몸으로 떼워야 했고, 대체도 힘들었어요
조선시대 vs 현재 세금비교 | |
조선시대 | 현대 |
전세(땅과 곡식) | 소득세, 재산세 |
공납(물건 세금) | 부가세, 지방세 |
역(노동세금) | 국방의 의무, 공공비용 |